파이썬 리스트와 딕셔너리 개념 및 실전 예제

파이썬 리스트와 딕셔너리 개념 및 실전 예제

안녕하세요, 여러분! 😊 오늘은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료구조 중 하나인 리스트(List)와 딕셔너리(Dictionary)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개념을 정리하고 실전 예제까지 함께 살펴볼 테니 끝까지 읽어주세요!




리스트(List)란?

리스트(List)는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파이썬의 기본 자료구조입니다. 대괄호([])를 사용하여 정의하며,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혼합하여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.


리스트 실전 예제

    
        # 리스트 생성
        fruits = ["사과", "바나나", "체리"]
        print(fruits)  # ['사과', '바나나', '체리']

        # 리스트 요소 추가
        fruits.append("포도")
        print(fruits)  # ['사과', '바나나', '체리', '포도']

        # 리스트 요소 삭제
        fruits.remove("바나나")
        print(fruits)  # ['사과', '체리', '포도']
    

딕셔너리(Dictionary)란?

딕셔너리(Dictionary)는 키(Key)와 값(Value)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입니다. 중괄호({})를 사용하여 정의하며, 키를 통해 값을 빠르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.


딕셔너리 실전 예제

    
        # 딕셔너리 생성
        student = {"이름": "홍길동", "나이": 20, "학과": "컴퓨터공학"}
        print(student["이름"])  # 홍길동

        # 값 변경
        student["나이"] = 21
        print(student)  # {'이름': '홍길동', '나이': 21, '학과': '컴퓨터공학'}

        # 키-값 추가
        student["학년"] = 3
        print(student)  # {'이름': '홍길동', '나이': 21, '학과': '컴퓨터공학', '학년': 3}
    

리스트 vs 딕셔너리 비교

리스트 딕셔너리
순서가 있음 키(Key) 기반으로 데이터 저장
인덱스를 사용하여 접근 키를 사용하여 접근
중복된 값 허용 키는 중복 불가능

자주 묻는 질문 (FAQ) ❓

파이썬 리스트와 튜플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?

리스트는 변경(mutable)이 가능하지만, 튜플은 변경이 불가능(immutable)합니다. 따라서 리스트는 요소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지만, 튜플은 한 번 생성되면 수정할 수 없습니다.

리스트와 딕셔너리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나요?

순서가 중요한 데이터는 리스트를, 키-값 쌍으로 빠르게 조회해야 하는 데이터는 딕셔너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
딕셔너리에서 특정 키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은?

파이썬에서는 'key' in dictionary 구문을 사용하여 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리스트를 딕셔너리로 변환할 수 있나요?

네! 리스트를 딕셔너리로 변환하려면 dict() 함수와 zip()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딕셔너리를 리스트로 변환할 수 있나요?

네, 딕셔너리의 .keys(), .values(), .items() 메서드를 활용하여 리스트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.

리스트와 딕셔너리를 함께 사용할 수 있나요?

네, 가능합니다! 예를 들어, 리스트 안에 딕셔너리를 저장하거나, 딕셔너리의 값으로 리스트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

마무리 😊

오늘은 파이썬 리스트와 딕셔너리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았습니다. 리스트는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데 유용하고, 딕셔너리는 키-값 쌍으로 빠르게 데이터를 찾을 때 강력한 도구입니다.

프로그래밍을 할 때는 언제 어떤 자료구조를 사용해야 할지 고민하게 될 텐데요! 리스트와 딕셔너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코드를 더욱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을 거예요.

다음 이전